경제기사를 보다보면 콜금리라는 단어를 볼 수 있는데요.
콜금리 뜻과, 보는 방법, 콜금리의 의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콜금리 뜻
콜금리는 금융기관끼리 남거나 모자라는 자금을 단기(최장30일)이내의 초단기로 급전을 쓸때 적용되는 금리입니다.
보통 빌려주는 입장에서는 콜론(Call Loan), 빌리는 쪽에서는 콜(Call Money)라고 합니다.
콜금리에 영향을 주는 요인
은행들의 지준 상황, 채권의 발행 및 상환, 기관의 단기자금 운영형태에 따라 달라집니다.
콜금리가 오르는 이유
은행에 돈이 부족하면, 콜자금을 빌려쓰기 위해 수요공급 법칙에 의해 콜금리가 오르게 됩니다.
보통 콜금리가 급등될 경우에는 시장에 돈이 없어서 돈 빌리기가 어려워 경기침체의 신호로 볼수도 있습니다.
콜금리가 내리는 이유
은행에 돈이 넉넉하기 때문에, 서로 돈을 빌릴 이유가 없기 때문에, 콜금리가 내리게 됩니다.
아래그림은 한국은행 페이지에서 볼 수 있는 자료입니다.
기준금리가 3.5%로 유지되는 동안 콜금리가 기준금리를 중심으로 변동폭이 나타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23년 12월은 콜금리가 3.9% 정도
23년 9월은 콜금리가 3.8% 정도 였었습니다.
현재는 기준금리 인하에 맞춰 떨어져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콜금리 어디서 확인이 가능한가
콜금리는 한국은행 금융경제 스냅샷 페이지에서 볼 수 있습니다.
(해당페이지는 한국은행에서 자주 언급되는 경제지표들을 볼수 있게 정리한 사이트 입니다.)
한국은행 금융경제 스냅샷
snapshot.bok.or.kr
스냅샷 사이트에 들어가면 처음에 다음과 같음 화면이 나타나는데
[국내금융시장] 영역을 클릭하면 됩니다.
그러면 기준금리 및 콜금리 부분을 볼수 있습니다.
콜금리가 오른다고 경제침체가 무조건 온다고 말할 수 없지만,
콜금리의 방향이 가지는 의미를 파악하고 경제를 바라본다면 앞으로의 투자 방향을 결정하는데 약간의 도움이 되지 않을까요?
이상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경제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샌즈랩 주가 종목 분석 (0) | 2025.02.04 |
---|---|
CMA 통장 만들어야 하나? 장점과 단점은? (2) | 2025.01.04 |
미국 SES(솔리드에너지 시스템, 현 SES AI)는 현재? (1) | 2024.10.27 |
2025년 한국경제 전망 [현대경제연구원 리포트 정리] (1) | 2024.09.21 |
삼현 유통주식수 보호예수 (0) | 2024.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