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한국경제 전망 [현대경제연구원 리포트 정리]
2024년 9월13일 현대경제연구원에서 경제주평 리포트로 2025년 한국 경제 전망 리포트가 나왔다.
보통 내년 경제전망은 추석이후부터 10월 중에 나오는 편인듯 하다.
현대경제연구소 메일링을 받고 있어, 리포트가 나온지 확인 할 수 있었다.
해당 리포트를 확인해 보고자 한다.
해당리포트의 부제는 <내외수 균형성장이 필요한 한국 경제>이며
목차는 다음과 같다.
보고서에서 최근 국내 경제는 수출경기의 회복에도 소비부분의 침체때문에
경기가 나아지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한다.
설비,건설 부분에서 약간이나마 나아지는 상황이 보이나, 앞이 보이지 않는 경제 불확실성으로 인해
소비의 주체인 민간에서의 소비심리가 일어나지 않아 내부 개선에는 시간이 소요될 것 같다는 의견.
소비를 망설이게 하는 요인은 고금리, 고물가, 소득정체
소매판매의 지표는 전월대비, 전년 동월대비 현저하게 감소하는 수치를 나타내고 있다.
수출이 나아진다 하나, 수출도 품목별로 양극화가 극명하게 나타나고
고용도 산업간,연령층 간 고용시장의 양극화가 나타난다는 의견.
이런 전망의 배경은 다음과 같은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글로벌 경기는 완만한 개선을 제시했는데 선진국의 경기는 통화정책 변화와
보다 적극적으로 경기 정책이 동반되면서 성장률이 완만하게 개선될 것으로 보고 있음
세계경제는 3% 내외 수준으로 전망된다는 의견을 나타냈다.
국내경기는 변곡점, 즉 상승 또는 하락으로 갈 수 있는 점을 보고 있는데,
내수부진의 지표가 나타나지만 현재 수출 경기 회복에 의존하고 있는 형태.
경기선행지수 순환변동치의 개선세가 멈추고 있으며, 수출 환경이나 정책 방향에 따라
성장추세가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변곡점에 있다고 말하고 있다.
(이 부분은 상당히 동의하는 부분)
최종적으로 2025년 한국경제 전망은 다음과 같이 보고 있다.
2.2% 정도의 성장세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으며, 상반기와 하반기가 큰 차이 없는
경기 흐름을 보일것으로 내다봤다. 지표상으로는 상저하고로 보나 상반기의 경우
2024년 상반기에 나온 경제지표들이 높게 나와, '상저'로 보고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상하반기
둘다 차이 없다는 의견
민간소비는 금리 하락과 가계 가처분 소득 확대에 따른 소비심리 개선의 의견을 내기도 했다.
해당 보고서에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환경변화나 정책변화 등등의 대응 방향에 따라 성장방향이 달라질 가능성이 있는 만큼
적절한 정책 대응을 통해 경기 회복력을 강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한다.
해당 보고서 전문은 이곳에서 볼 수 있음
위의 내용은 요약부분이고, 보고서내에서 제시하는 근거와 현황 자세히 확인 가능함
https://www.hri.co.kr/kor/report/report-view.html?mode=1&uid=97749&search=&page=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