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재테크

보호예수(의무보유등록) 해제 확인 하는 방법

by M올라운더 2025. 3. 9.
반응형

 

신규 상장 종목 들을 투자하시는 분들이라면 보호예수, 의무보유등록기간, 락업물량 등의 단어를 들어봤을 겁니다.

그렇다면 이 기간과 수량, 즉 보호예수 해제를 어디서 확인할 수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의무보유등록 제도란?

의무보유제도(LOCK-UP)제도는 최대주주, 관련있는 이해관계, 기관 등이 소유한 주식 등에 대하여 일정기간 동안 처분의 제한을 두어 주가 변동성으로부터 투자자를 보호하고, 불공평한 주가가 형성되지 않고, 일반투자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제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때, 특정이해관계자 들은 한국예탁결제원에 처분이 제한되도록 전자등록하며, 해제될때마다 한국예탁결제원에서는 매월말에 다음달 해제 종목, 물량(주식수), 사유, 등을 공시하고 있습니다.

 

 

2. 의무보유등록의 종류

1) 모집전매제한 (50인 미만 모집시 해당 주주 지분 전매제한)

    - 제3자 유상증자가 대표적인 경우로, 보통 한국예탁결제원에 1년 동안 의무보유합니다.

2) 신규상장 시 최대주주 등 지분 유통제한

    - 최초상장 시 그 주식을 보유한 최대주주 등은 상장일부터 일정기간 동안 (보통 1년) 한국예탁결제원에 의무보유 해야 합니다.

3) 합병 시 해당 주주 지분 유통제한

   - 합병상장시 피합병법인의 최대주주 등과 상장예비심사 신청전 제3자 배정방식으로 주식 등을 취득한 주주 등은 상장일로부터 일정기간 동안 의무보유해야 합니다.

 

최근 올라온 의무보유등록해제 상세내역을 보면 사유가 다양함을 알 수 있습니다.

신규 상장의 경우 상장시 여러 기관 투자자의 이해가 얽혀있기 때문에 사유는 더 다양합니다.

 

 

 

3. 의무보유등록 확인하는 법

1) 한국예탁결제원에서 매월 말일에 다음달 의무보유등록이 해제되는 종목을 발표합니다. 

   먼저 한국예탁결제원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홈페이지 이동하기    한국예탁결제원

 

2) 해당페이지에서 스크로를 내려 [보도자료] 카테고리로 이동합니다.

 

 

 

3) 보도자료에서 [의무보유]라고 치면 해당월에 맞는 자료를 찾아서 볼 수 있습니다.

 

 

 

 

4. 의무보유등록을 확인해야 하는 사람

- 상장된지 1년이 안된 종목을 투자하려는 사람 : 신규 상장된 종목은 의무보유등록 기간에 따라 유통되는 주식수의 변동이 생기므로 최근에 상장된 종목이라면 의무보유등록을 확인해 보는것이 좋습니다. 

- 유통물량을 활용하여 투자를 계획 하려는 사람 : 자신이 사고 싶은 종목의 의무보유등록 물량이 해제 될 경우 주가가 낮아질 것을 예상하고 있다면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5. 의무보유등록 확인시 주의해야 할점

- 해당 보도자료는 한국예탁결제원에서 월별로 정리해서 공지하는 자료일 뿐으로, 정확한 사유는 개별종목의 공시를 꼭 확인해야 합니다.

- 보통 비율이 큰 의무보유등록해제는 최대주주나, 특정이해관계가 얽혀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해제된다고 해도 그 주식이 모두 유통되는 것이 아닙니다. (대주주가 전매제한이 풀린다고 주식을 매매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반응형